인문정보학입문
2016년 1학기 중간고사
- 이름: 김지혜
- 학번: 201610307
- 학과: 문화콘텐츠학과
- 학년: 1학년
- 전화: 010-9599-0606
1. ①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②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③ 디지털 인문학과 인문정보학의 관계는?
1. ① 디지털 인문학이란 기존의 인문학적 지식을 발달된 정보통신기술과과 협력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연구 하는 학문이다.
② 인문정보학은 디지털 인문학을 위한 여러가지 인문학적 또는 기술적 지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③ 인문정보학은 디지털 인문학을 위한 정보처리 기술을 연구한다. 따라서 인문정보학은 디지털 인문학의 여러가지 분야중 하나이며,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도움을 주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2. 아래의 문장은 독일 철학자 칸트(Kant)의 유명한 명제 "직관[경험] 없는 개념[사유]은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라는 말을 패러디한 것이다. 이 문장 속에 쓰인 ‘플랫폼(platform)’과 ‘콘텐츠(contents)’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두 가지는 서로에 대해 어떠한 관계를 이루는가?
"플랫폼에 실리지 않은 콘텐츠는 맹목적이며,
콘텐츠를 담지 않은 플랫폼은 공허하다."
2. 플랫폼은 콘텐츠를 담아 유통하는 매체, 혹은 미디어를 뜻한다. 콘텐츠는 플랫폼에 실리는 다양한 내용의 정보와 자료를 뜻한다.
따라서 플랫폼과 콘텐츠는 서로 없어서는 안되는 상보적인 관계이며 서로의 존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부각시키는 관계이다.
3. ‘허구적 스토리텔링’과 ‘사실적 스토리텔링’. 이 두 가지는 각각 무엇을 말하며, 서로에 대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설명하시오.
3. 허구적 스토리텔링은 소설과 같은 현실에서 일어날 법 하지만 실제로 일어나진 않았던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을 말하며, 사실적 스토리텔링은 실제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가지는 서로 비슷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서로에 대해 각자의 영역을 침범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관계가 있다.
4. 로베르토 부사(Roberto Busa, 1913~2011)와 에드워드 와그너(Edward Wagner, 1924~2001)가 한 일과 그 일의 의미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4. 로베르토 부사는 중세 라틴어의 단어 색인을 디지털로 편찬하였다. 그의 업적은 디지털 인문학의 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에드워드 와그너는 한국사 연구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인 교수와 함께 '문과방목' 이라는 명부를 디지털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편찬하였다. 그의 업적은 한국사의 자료들을 디지털화 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5. 다음은 18세기 말에서 영국 런던에서 고아로 자라난 한 소년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러한 이야기가 어떠한 방법으로 발굴되었는지 설명하시오.
John Conway는 1775년 6월 7일 St. Clement Danes 교구회에 맡겨졌다. 교구 기록에는
그의 나이가 3년 6개월이고, 글을 읽고 주기도문을 욀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 간호사
Hill이 주급 2실링 6펜스를 받고 그를 보육하였다. 1778년 John은 가난한 소년들에게
일거리와 숙식을 제공하는 구빈원(救貧院)으로 옮겨진다. (이 때 그의 나이는 2살이 늘어난
8살로 기록된다.) 그는 이곳에서 걸레에 쓰는 실을 짜는 일을 했다. 교구의 도제 등록부에
의하면, John은 1783년 8월 30일 Essex 지방의 Barking에 사는 어부 Morris Jones의
도제(徒弟)로 보내진다. 이 때 만들어진 고용 계약서에는 7주 후에 마스터인 Morris
Jones가 2파운드를 받고, 3년간의 고용 기간이 만료되면 2파운드 2실링을 더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John은 3년 동안 일한 후에 옷 한 벌을 받기로 하였다. 1785년 4월 18일에
John은 다시 St. Clement Danes 구빈원의 명부에 올랐다. 하지만 4월 22일에 열린 입원
자격 심사에서 그가 도제 생활을 한 지 9달 만에 도망쳤던 사실이 드러나 입원이 거부되었고,
다음날 그는 Barking으로 추방되었다. 1786년 3월 15일, John은 14살이라고 나이를
속이고 다시 구빈원에 들어오려고 했지만, 이번에도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3월 17일,
존은 다시 Barking으로 돌려보내졌다.
5. '런던 사람들의 생활' 이라는 런던 거주민의 삶에 대한 인문지식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제작자는 이 데이터베이스 속에 많은 인명 중 동일 인물들을 찾아서 그 시대의 런던 하층민으로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재구성 하였다. 이 소년에 대한 이야기는 그 중 데이터중 한가지 사례이다.
6. 우리가 디지털 인문학을 통해 하려는 일은 무엇인가? ‘연구’, ‘교육’, ‘응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서술하시오.
6. 연구 : 인문학적 지식이 정보통신 기술과 조화롭게 결합할 수 있는 방안과 적절한 플랫폼에 담겨 적절하게 유통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야 한다.
교육 : 디지털 원어민인 학생들에게 익숙한 디지털을 이용한 방법으로 인문학을 교육함으로써 인문학적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디지털 언어를 읽는 것 뿐 아니라 '쓰는' 것에도 익숙해 질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미래의 인문학자가 되기 위한 기초적 인문학 소양을 다질 수 있으며, 인문학을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 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응용 : 디지털 인문학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응용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제작한다. 또한 인문학적 지식을 월드와이드 웹에 기반하여 공유함으로써 모든 사람과 협업하여 지식 체계를 완성시키고, 심화시켜 나간다.
7. 다음은 디지털 인문학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들이다. 네 가지 중 자신에게 가장 의미있는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첫째, 디지털 인문학은 전통적인 인문지식을 배우는 새로운 방법.
둘째, 장래에 인문학 분야의 연구자가 되려고 하는 학생들이 경쟁력 있는 연구 역량을 갖추기 위해 연마해야 할 학술적 소양
셋째, 인문학 기반의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저작 능력을 증진
넷째, 디지털 환경에서 ‘나의 인문학’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
7. 넷째, 디지털 환경에서 '나의 인문학'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세대를 살고 있는 지금, 이미 너무 많은 정보와 인문학적 지식들이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창의력이 중요시되는 세대에서는 이러한 인문학적 지식과 정보들을 나의 것으로 만들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나만의 인문학 콘텐츠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환경에 충분히 적응한 후, 월드 와이드 웹에 내가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지식을 '나만의' 방법으로 제시하여 '나의 인문학'을 만들어 나가는 능력이 중요하다.
8. 일반적인 온라인 시스템과 구별되는 위키 기반 웹 사이트의 주요 특징은 다음 세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설명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키워드가 함축하는 위키 시스템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 웹 브라우저
- 위키 문법
- 협업
8. 위키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정보를 읽고, 쓰고, 공유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접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위키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공유하는 '위키 문법'을 통해 이 문법을 아는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 상에서 위키 문법을 통해 자료가 만들어지는 이러한 시스템은 여러 사람들이 '협업'하여 지식 체계를 완성해 나갈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9. 다음은 인문정보학 공부와 장래 직업 기회의 관련성에 대한 언급이다. 이 가운데 문화콘텐츠의 기획·개발자가 되는 데 필요한 소양을 인문정보학 공부를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인문학 연구 성과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연구, 디지털 환경에서 인문지식을
사회화 하는 지식 콘텐츠의 개발에 관심을 둔 사람은 문화콘텐츠학의 일환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인문정보학을 전공으로 삼아 인문지식의 디지털 정보화
기술과 그것의 이론적 배경을 심도 있게 공부할 수 있다. 이들은 사회에 진출해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기획·개발자, 공공 영역에서 지식 자원의
사회적 수집·공유·활용을 촉진하는 정보 관리자, 디지털 인문지식의 생산과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인문정보학 전문 연구자로서 활동하게
될 것이다.
9. 인문학적 소양은 인간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덕목 중 하나이다. 따라서 그러한 기본적인 인문학적 가치가 배제된 콘텐츠들은 문화로서의 기본적인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근본적인 소재를 얻을때 고전이나 정전 등 여러가지 인문학적 요소들에서 소재를 발굴하는 경우들이 늘고 있다. 그런 소재발굴 과정에서 인문학적 지식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디지털화 된 인문지식들을 읽고, 쓰는 것에 자유자재가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문학적 지식을 디지털화하고, 지식 체계를 넓히고, 공유하기 위한 학문인 인문정보학에 대한 공부는 훌륭한 문화콘텐츠 기획 개발자가 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10. ①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이란 무엇인가? ②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과 어떠한 관계가 있나?
10. ① 월드 와이드 웹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이러한 수많은 전세계의 문서들이 하이퍼링크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서버들의 집합을 뜻한다.
② HTML은 하이퍼텍스트를 표기하는 디지털텍스트 언어이다.
따라서 HTML은 월드 와이드 웹에서의 하이퍼텍스트를 읽고 쓸 수 있는 역할을 한다.
11.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이란 인문지식을 시각적인 형태로 전환하여 그 활용성을 높이려는 시도이다.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 가지 주제를 제시하고, 그것을 시각적 인문학의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구상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11. 나는 음악을 동반한 영상매체에 대해 관심이 많다. 멈춰있는 사진으로 된 시각적인 자료보다 청각적인 자극을 동반할 수 있는 영상자료는 독자에게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전달하려는 인문학적 지식을 적절한 청각적 소스와 함께 영상으로 구현한다면, 매체를 접하는 독자들에게 엄청난 감정적 동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는 정보 전달은 다른 자료들 보다 매우 오래 기억에 남기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지식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K-POP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외국에도 점차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음악을 소개와 함께 짧은 영상 소스로 만들어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영상은 음악을 1분정도 미리 들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슷한 분위기를 가진 다른 음악들도 추천해준다. 이러한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동시에 주는 매체를 통해 우리나라의 음악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고, 음악 관련 종사자 혹은 음악을 향유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효율적으로 음악 문화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