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록도 100년사:
기억의 보존과
치유를 위한
역사적 재조명
소록도의 100년 역사는 한국 한센병 치료와 관리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한센병에 대한 인식 변화와 의료
체계 발전의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소록도 역사의 디지털 전환과
사회적 치유를 위한 새로운 접근
저희 소록소록팀은 소록도의 100년간 역사적 기록, 사진, 영상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대중과 공유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요 사건 중심으로 역사적 장소, 인물, 유물을 분류하고 XML 및 시맨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리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록도의 100년사' 연구를
완성하며 사회적 치유와 공감의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Network Graph
Ontology
Review
Member | Comment |
---|---|
강민우 | 1960년부터 1981년 사이에 일어난 소록도의 사건과 일들을 노드로 정리하여 링크로 연결하였고, 노드와 링크를 취합하여 lst와 온톨로지, 그리고 시맨틱데이터의 구성을 완료하였습니다. |
남현준 | 주제의 범위 및 전체 총괄. 노드 및 관계어 설정 및 소록도 역사 중 광복 후의 혼란과 요양소 체제의 불안정(1945~1960) 노드 작성 및 관계어 연결 |
차다빈 |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등의 시설을 조사하고, 1933~1945년 절대격리체제 관련 사건을 연구했습니다. |
박소연 | 1982년부터의 소록도 역사 관련 내용을 수집 및 정리하고, 그 내용에서 노드를 뽑아내고 각 노드를 링크를 통해 연결하였다. |
윤지우 | 1916년부터 1931년까지 소록도 역사와 관련된 사건, 유물, 인물을 조사해 정리하고 아카이빙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