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일 년:
봄 여름 가을 겨울
한국인의 생활상

국립민속박물관의 상설 전시 《한국인의 일 년》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일 년을 사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눈 후, 각 계절의 절기 및 19-20세기의 생활상을 탐구했습니다.

한국인의 생활상: 각 계절의 절기, 세시풍속, 풍속

우리 민족은 지역이 달라도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고 같은 놀이를 즐기는 등 우리 고유의 문화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이러한 풍습을 봄, 여름, 가을, 겨울 및 각 계절의 절기와 이에 대한 세시풍속과 풍속의 이야기로 연결지어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더 나아가 각 계절에서 중요하거나 대중에게 알리고자 하는 풍습을 선정해 조사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과 특징을 널리 알리고 사라져가는 옛 풍속을 되새겨보고자 합니다.

아이콘

봄_입춘

아이콘

여름_단오

아이콘

가을_추석

아이콘

겨울_상달고사

아이콘

봄_삼짇날

아이콘

여름_수리취떡

아이콘

가을_널뛰기

아이콘

겨울_김장

Network Graph

Ontology

photo
photo
photo
photo

Review

Member Comment
송미현 사계절 중 '봄'을 맡아 봄의 절기, 세시풍속, 풍속을 조사하고 정리하였습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인 입춘과, 봄을 알리는 명절인 삼짇날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조사하였습니다.
고경민 사계절 중 '여름'을 맡아 여름의 절기, 세시풍속, 풍속을 조사하고 정리하였습니다. 그중 여름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인 단오, 단오의 전통음식인 수리취떡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이예진 사계절 중 '가을'을 맡아 가을의 절기, 세시풍속, 풍속을 조사하고 정리하였습니다. 가을의 가장 대표적인 명절인 추석과, 이와 관련된 관습 중 잘 알려진 널뛰기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정의윤 사계절 중 '겨울'을 맡아 겨울의 절기, 세시풍속, 풍속을 조사하고 정리하였습니다. 겨울 풍속 중 상대적으로 생소한 상달고사와 가장 대표적인 풍속인 김장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조사했습니다.

top